그대 고운 내사랑 5
페이지 정보
작성자 정 란(32기) 작성일04-06-06 14:49 조회3,001회 댓글0건본문
히말라야 깊은 산에는 주요 운송수단이 말입니다.
대부분 이런 말들이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높은 산에 있는 롯지(산장)까지 올라갑니다,
그래서 높이 올라갈 수록
산장에서 묵는 비용과 그곳에서 파는 생필품, 차 한잔 값도
다 다릅니다. 올라갈 수록 비싸지는거지요.
히말의 좁은 산길에 이런 말떼들이 지나가면
사람들은 꼼짝없이 길가 한 켠에 서서
이들이 지나가길 기다려야합니다.
그래서 길에는 그들이 눈 똥 천지이지요.
그 배설물들을 요리조리 피해서 가야하고,
그들에게 길을 비켜주지 않을 경우 때론 그들의 뒷발에 채여 다치기도 하거든요.
한국의 큰도시도 아닌,
네팔의 호젓한 산길에 교통체증이라니 아이러니칼하지요.
저도 그동안 제 스스로가 만든 교통체증에 갇혔나봐요.
추석길에서 중심이동을 하지 못한 채
몇 번을 그냥 주저앉고 말았습니다.
눈물을 머금고 내려오고 말았습니다.
32기 평일반 수업때 \"선생님, 도저히 못하겠어요\"
하강~~~~
33기 평일반 수업때\" 선생님, 절대 못하겠어요\"
하강~~~
유급에 유급을 거듭하다 재수강을 하게 된 제가
34기 평일반 수업이 있는 오늘, \"선생님, 해보겠어요\"
드뎌,
드뎌,
그동안 꽉 막혀있던 교통체증을 뚫고 앞으로 나갈 수 있었죠.
와~~~우!
제 삶에 기적이 일어난 날입니다.
바위에 서지 못하던 제가 바위를 딛고 우뚝 섰다는 거, 이게 바로 기적아닌가요?
물론 전 우리 32기 주말반 동기들과 함께 인수봉 등반도 했지요.
그러나 제가 올랐다기보다는
숱한 \"텐션!!!\"속에 남의 힘으로 올라갔기에
여태껏 제 마음 속에 바위 오름짓에 대한 확신이 없었는가 봅니다.
그런데 이젠 제가 스스로 바위를 딛고 올라섰다는 느낌과 확신이 들기에
기적이라고 하는 겁니다.
이 여세를 몰아 담 주 보게 될 선등시험은
사실 걱정도 안됩니다.
제게는 오늘 이 입문식(오늘 추석길 돌파가 제게는 바위타기입문식으로 여겨지니까요)이
더 큰 미해결 과제였기 때문이지요.
이제야 알았습니다.
교통체증은
내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,
내가 스스로 막고 있었던 장애물 때문이었죠.
내 자신에 대한 의심과 두려움, 불안, 소심함...
바위탓도 아니고,
능력탓도 아니었습니다.
그동안 바위를 타겠다고 하면서도 한편으로는
내가 물주고 키워왔던 내 안의 악성 바이러스였을 뿐이죠.
일찌기 저 유명한 다비드 상을 제작한 미켈란젤로는 이렇게 말했죠.
\"내가 다비드 상을 만든게 아니라,
나는 대리석 덩어리 안에 갇혀 있는 다비드를 발견하고
그 속에서 그를 해방시킨 것일 뿐이다\"라고요.
저도 마찬가지입니다.
제 안에 꼭꼭 숨어 잠자고 있던, 그래서 있는 줄도 몰랐던
-용기, 모험, 도전정신이
밖으로 튀어 나오도록,
그래서 그것들이 자유롭게 힘을 발휘하도록 해방시킨 것일 뿐이죠.
그대 고운 내 사랑, 바위님!
당신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이 없어진 그 자리에
당신은 선물을 주셨습니다.
아, 내 겨드랑이가 갑자기 근질근질하네요.
어, 이게 뭘까?
이크, 날개가 돋아나고 있네요.
거대한 당신 앞에 선 난 작은 새.
이제 내게 돋아난 새 살,
내 날개를 달고 푸드득 거립니다.
당신을 딛고 일어나
저 푸른 하늘을 향해 날개짓을 하렵니다.
아름답고 눈부신 황금빛 날개를 조금씩 조금씩 펼쳐가면서~~~~~
대부분 이런 말들이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높은 산에 있는 롯지(산장)까지 올라갑니다,
그래서 높이 올라갈 수록
산장에서 묵는 비용과 그곳에서 파는 생필품, 차 한잔 값도
다 다릅니다. 올라갈 수록 비싸지는거지요.
히말의 좁은 산길에 이런 말떼들이 지나가면
사람들은 꼼짝없이 길가 한 켠에 서서
이들이 지나가길 기다려야합니다.
그래서 길에는 그들이 눈 똥 천지이지요.
그 배설물들을 요리조리 피해서 가야하고,
그들에게 길을 비켜주지 않을 경우 때론 그들의 뒷발에 채여 다치기도 하거든요.
한국의 큰도시도 아닌,
네팔의 호젓한 산길에 교통체증이라니 아이러니칼하지요.
저도 그동안 제 스스로가 만든 교통체증에 갇혔나봐요.
추석길에서 중심이동을 하지 못한 채
몇 번을 그냥 주저앉고 말았습니다.
눈물을 머금고 내려오고 말았습니다.
32기 평일반 수업때 \"선생님, 도저히 못하겠어요\"
하강~~~~
33기 평일반 수업때\" 선생님, 절대 못하겠어요\"
하강~~~
유급에 유급을 거듭하다 재수강을 하게 된 제가
34기 평일반 수업이 있는 오늘, \"선생님, 해보겠어요\"
드뎌,
드뎌,
그동안 꽉 막혀있던 교통체증을 뚫고 앞으로 나갈 수 있었죠.
와~~~우!
제 삶에 기적이 일어난 날입니다.
바위에 서지 못하던 제가 바위를 딛고 우뚝 섰다는 거, 이게 바로 기적아닌가요?
물론 전 우리 32기 주말반 동기들과 함께 인수봉 등반도 했지요.
그러나 제가 올랐다기보다는
숱한 \"텐션!!!\"속에 남의 힘으로 올라갔기에
여태껏 제 마음 속에 바위 오름짓에 대한 확신이 없었는가 봅니다.
그런데 이젠 제가 스스로 바위를 딛고 올라섰다는 느낌과 확신이 들기에
기적이라고 하는 겁니다.
이 여세를 몰아 담 주 보게 될 선등시험은
사실 걱정도 안됩니다.
제게는 오늘 이 입문식(오늘 추석길 돌파가 제게는 바위타기입문식으로 여겨지니까요)이
더 큰 미해결 과제였기 때문이지요.
이제야 알았습니다.
교통체증은
내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,
내가 스스로 막고 있었던 장애물 때문이었죠.
내 자신에 대한 의심과 두려움, 불안, 소심함...
바위탓도 아니고,
능력탓도 아니었습니다.
그동안 바위를 타겠다고 하면서도 한편으로는
내가 물주고 키워왔던 내 안의 악성 바이러스였을 뿐이죠.
일찌기 저 유명한 다비드 상을 제작한 미켈란젤로는 이렇게 말했죠.
\"내가 다비드 상을 만든게 아니라,
나는 대리석 덩어리 안에 갇혀 있는 다비드를 발견하고
그 속에서 그를 해방시킨 것일 뿐이다\"라고요.
저도 마찬가지입니다.
제 안에 꼭꼭 숨어 잠자고 있던, 그래서 있는 줄도 몰랐던
-용기, 모험, 도전정신이
밖으로 튀어 나오도록,
그래서 그것들이 자유롭게 힘을 발휘하도록 해방시킨 것일 뿐이죠.
그대 고운 내 사랑, 바위님!
당신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이 없어진 그 자리에
당신은 선물을 주셨습니다.
아, 내 겨드랑이가 갑자기 근질근질하네요.
어, 이게 뭘까?
이크, 날개가 돋아나고 있네요.
거대한 당신 앞에 선 난 작은 새.
이제 내게 돋아난 새 살,
내 날개를 달고 푸드득 거립니다.
당신을 딛고 일어나
저 푸른 하늘을 향해 날개짓을 하렵니다.
아름답고 눈부신 황금빛 날개를 조금씩 조금씩 펼쳐가면서~~~~~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